반응형 붕당정치2 근세의 정치 -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2),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 마침내 선조가 즉위하면서 그동안 향촌 사회에 숨어 세력을 확장해오던 사림 세력이 대거 중앙으로 진출하면서 정치 형국을 주도하게 되었다. 그러나 사림 세력은 이전의 척신 정치의 잔재를 어떻게 청산하느냐를 둘러싸고 갈등을 겪게 되었다. 명종 때 이후부터 정권에 참여했던 기성 사림은 척신 정치를 과감하게 개혁하는 것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던 반면에 새롭게 정권에 차명하게 된 신진 사림은 철저하게 원칙을 지켜 척신 정치를 청산해 사림 정치의 실현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두 세력의 갈등은 심화되었고 기성 사림을 중심으로 서인이 형성되었으며 신진 사림을 중심으로 동인이 형성되었다. 이황과 조식, 서경덕의 학문을 이어받은 동인은 다수의 신진 사림 세력이 참여하여 먼저 붕당의 형태를 이루었던 반면.. 2023. 1. 25. 근세의 정치 - 통치 체제의 정비(2),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1) 통치 체제의 정비 조선 시대에는 주로 과거나 음서, 천거 등을 통하여 관리를 선발하였다. 과거의 종류로는 문관을 선발하는 문과와 무관을 선발하는 무과, 그리고 기술관을 선발하는 잡과가 있었다. 문과에도 여러 종류가 있었는데, 3년마다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식년시와 비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증광시, 알성시 등이 있었다. 문과의 식년시 같은 경우엔 각 도의 인구 비례에 따라 합격자를 선발하는 초시, 초시 합격자들 중에서 33명을 선발하는 2차 시험인 복시 그리고 마지막으로 국왕의 주관하에 실시하는 전시를 통해 순위를 결정지었다. 천인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과거에 응시할 수 있었지만, 탐관오리의 아들, 재가한 여자의 아들과 손자, 그리고 서얼은 문과에 응시할 수 없었다. 문과(대과)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먼.. 2023. 1.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