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새 경향
<진경 산수화와 풍속화>
조선 후기 그림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새 경향은 진경 산수화와 풍속화의 유행이었고, 서예에서는 우리의 정서를 담은 글씨의 등장이었다. 진경 산수화는 우리 자연을 사실적으로 그려 회화의 토착화를 이룩하였다. 풍속화는 당시 사람들의 생활 정경과 일상 모습을 생동감 있게 나타내어 회화의 폭을 확대하였다.
17세기부터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상승하였고, 이러한 의식은 우리 고유 정서와 자연을 표현하는 예술 운동으로 이어졌다. 진경 산수화는 중국의 남종과 북종 화법을 골고루 수용하여 우리의 고유한 자연과 풍속에 맞춘 새로운 화법으로 창안한 것이다.
진경 산수화의 개척자는 18세기 정선이었다. 정선은 서울 근교와 강원도 명승지를 두루 답사하고 그것들을 사실적으로 그려 냈다. 정선의 대표작인 인왕제색도와 금강전도를 보면 바위산은 선으로 묘사하고, 흙산은 묵으로 묘사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산수화의 새로운 경지를 이룩하였다.
정선의 뒤를 이어 산수화와 풍속화에 새로운 경지를 연 화가는 김홍도였다. 그는 산수화, 기록화, 신선도 등 다양한 그림을 많이 그렸지만, 정감 어린 풍속화가 가장 유명하다. 그는 밭갈이, 추수, 씨름, 서당 등의 작품을 통해 자신의 일에 몰두하는 사람들의 특징을 소탈하고 익살스러운 필치로 묘사하였다. 그의 그림에서 18세기 후반의 생활상과 활기찬 사회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김홍도에 버금가는 풍속화가로는 신윤복이 있었다. 신윤복은 주로 양반과 부녀자의 생활과 유흥, 남녀 사이의 애정과 같은 주제를 감각적이고 해학적으로 묘사하였다.
이 밖에도 강세황 등의 화가가 개성 있는 그림으로 18세기를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특히, 강세황은 서양화 기법을 반영하여 사물을 실감나게 표현하였다.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장승업이 강렬한 필법과 채색법으로 뛰어난 기량을 발휘하였다. 진경 산수화와 풍속화는 김정희 등이 이끈 문인화의 부활로 침체하였으나 구한말에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민중의 미적 감각을 잘 나타냈던 민화도 유행하였다. 해, 달, 꽃, 나무, 동물, 물고기 등을 소재로 삼고 소원을 기원하며 생활 공간을 장식하였다. 이런 민화에는 소박한 우리 정서가 짙게 배어 있다.
서예에서도 이광사가 우리의 정서와 개성을 추구하는 단아한 글씨의 동국진체를 완성하였다. 김정희는 우리 서예 발전의 성과를 바탕으로 고금의 필법을 두루 연구하여 굳센 기운과 다양한 조형성을 가진 추사체를 창안하여 서예의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
<건축의 변화>
조선 후기, 불교가 신앙의 자리를 어느 정도 차지하고 정치·경제적인 변화가 나타나자 건축에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 양반과 더불어 새롭게 부상한 부농, 상공업 계층의 지원 아래 많은 사원이 건축되었으며, 정치적 필요에 의하여 대규모 건축물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17세기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상전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대규모의 다층 건물로, 내부는 하나로 통하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조선 후기 불교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양반 지주층의 경제적 성장을 반영하고 있다.
18세기에는 사회적으로 크게 부상한 부농 그리고 상인의 지원을 받아, 그들의 근거지에 장식성이 강한 사원이 많이 건립되었다. 대표적으로는 논산 쌍계사, 부안 개암사, 안성 석남사 같은 사원이 있다.
이 시기에 가장 특기할 만한 건축물은 바로 수원 화성이다. 정조 때의 문화적 역량을 집약시켜 새롭게 건립한 화성은 이전의 성곽과는 달리, 방어뿐만 아니라 공격까지 겸비한 성곽 시설로, 주위의 경치와 조화를 이루면서 평상시의 생활과 경제적 터전까지 조화시킨 종합적인 도시 건축 계획에 따라 건립되었다.
19세기의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흥선 대원군이 국왕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재건한 화려하고 장중한 건물인 경복궁의 근정전과 경회루가 있다.
<백자와 생활 공예, 음악>
조선 후기 산업 부흥에 따라 공예 역시 크게 발전하였다. 자기 공예에서는 백자가 민간에서까지 널리 사용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청화 백자가 유행하는 가운데 형태가 다양하지고, 안료도 청화, 철화, 진사 등으로 다채로웠으며 주로 제기와 문방구 등 생활 용품이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백자는 형태와 문양이 어울려 우리의 독특하고 준수한 세련미를 풍겼고, 이와 더불어 서민들은 옹기를 많이 사용하였다.
목공예도 생활 수준이 나아짐에 따라 크게 발전하였다. 장롱, 책상, 문갑, 소반, 의자, 필통 등 나무 본연의 재질을 살리면서도 기능을 갖춘 작품들이 많이 제작되었다. 화각 공예도 독특한 우리의 멋을 풍기는 작품이 많았다.
음악에서도 새로운 움직임이 나타났다. 음악을 향유하는 계층이 확대되면서 성격이 다른 음악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발전하였다. 양반층은 종래의 가곡, 시조를 애창하였고, 서민은 민요를 불렀다. 이와 함께 상업의 성황으로 직접 광대나 기생이 판소리, 산조 그리고 잡가 등을 창작, 발전시켰다. 이 시기의 음악은 대체적으로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경향이 매우 강하였다.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의 정치 - 개화와 주권 수호 운동(2) (1) | 2023.01.30 |
---|---|
근·현대의 정치 - 개화와 주권 수호 운동(1) (0) | 2023.01.30 |
근대 태동기의 문화 - 문화의 새 경향(1) (0) | 2023.01.29 |
근대 태동기의 문화 - 과학 기술의 발달 (0) | 2023.01.29 |
근대 태동기의 문화 - 실학의 발달(2) (0)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