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근대 태동기의 경제 -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by 밍밍S2 2023. 1. 28.
반응형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사상의 대두>

  조선 후기에는 농업 생산력이 향상되고 수공업 생산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상품의 유통 또한 활성화되었다. 토지와 각종 역을 돈으로 환산해서 납부하는 부세 및 소작료의 금납화, 인구의 자연적 증가 그리고 인구의 도시 유입 등은 상품 화폐 경제를 더욱 빠르게 진전시켰다.

 

  조선 후기 상업 활동을 주도했던 상인은 공인과 사상이었다. 초기에는 공인이 상업 활동을 주도하였지만 18세기 이후에는 사상이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사상은 주로 칠패, 송파 등 도성 주변에서 활동하였지만, 개성, 평양, 의주, 동례 등 지방 도시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사상은 각 지방의 장시를 연결하면서 물품을 교역하고, 각 지역에 지점을 두어 상권을 확장하였다.

 

  개성의 송상은 전국에 지점을 설치하여 활동 기반을 강화하였다. 이들은 주로 인삼을 재배하고 판매하였으며 대외 무역에도 깊게 관여하여 부를 축적하였다. 경강 상인은 운송업에 종사하며 거상으로 성장하였는데, 그들은 선박을 건조하는 등의 생산 분야에까지 진출하며 활동 반경을 넓혀나갔다.

 

<장시의 발달>

  조선 후기에 전국적으로 발달한 장시를 바탕으로 사상은 성장할 수 있었다. 15세기 말 남부 지방에서 시작된 장시는 18세기 중엽이 되면 전국에 1000여 개소가 설치될 정도로 보편화되었다.

 

  장시는 지방민의 교역 장소로, 인근의 농민, 수공업자, 상인이 일정한 날짜 그리고 일정한 장소에 모여 물건을 교환하였는데, 보통 5일마다 열렸다. 일부 장시는 상설 시장으로 성장하기도 하였지만, 보편적으로는 인근의 장시와 연계하여 하나의 지역 시장권을 형성하였다. 

 

  18세기 말, 전국적으로 유통망을 형성하고 연결하여 상업의 중심지로 발전된 장시에는 광주 송파장, 은진 강경장, 덕원 원산장, 창원 마산포장 등이 있다.

 

  농촌의 장시를 하나의 유통망으로 연계시킨 존재는 바로 보부상이었다. 보부상이랑 봇짐장수와 등짐장수를 일컫는 말로,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고 단결을 강화하기 위하여 보부상단이라는 조합을 이루고 있었다. 보부상은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이들은 장날의 차이를 이용하여 일정 지역 안 또는 전국을 돌아다니며 장시를 무대로 상업 활동을 하였다.

 

<포구에서의 상업활동>

  조선 후기에는 포구가 새로운 상업의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포구에서의 상거래는 장시에서의 상거래보다 그 규모가 훨씬 컸다. 기존의 포구는 세곡 또는 소작료를 운송하는 기지의 역할을 했지만, 18세기가 되면 강경포, 원산포 등이 상업의 중심지로 성장하게 되었다. 포구를 거점으로 선상, 객주, 여각 등이 활발하게 상행위를 하였다.

 

  선상은 선박을 이용해 각 지방의 물품을 구입하고 포구에서 처분하였다. 경강 상인은 운송업에 종사하다가 거상으로 성장한 대표적인 선상이다. 이들은 한강을 근거지로 하고 서남 연해안을 오가며 미곡, 소금, 어물 등을 주로 거래하였다.

 

  객주나 여각은 각 지방의 선상이 물품과 재화를 싣고 포구에 도착하면 그 상품 매매를 중개하거나 부수적으로 운송, 보관, 숙박, 금융 등의 영업을 하였다. 객주와 여각은 서울뿐 아니라 지방의 큰 장시에도 존재했다.

 

<대외 무역의 발달>

  국내 상업이 발달함과 동시에 대외 무역도 활발하게 성장하였다. 17세기 중엽부터 청과 활발한 무역이 진행되었다. 국경 지대를 중심으로 공식적으로 허용된 무역인 개시와 사적 무역인 후시가 있었다. 청에서는 비단, 약재, 문방구 등의 물품을 수입하였고 은, 종이, 무명, 인삼 등을 수출하였다.

 

  한편, 17세기 이후로 일본과의 관계는 점차 진전되었다. 따라서 왜관 개시를 통한 대일 무역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조선은 인삼, 쌀, 무명 또는 청에서 수입한 물품을 수출하였으며, 일본은 은, 구리, 황, 후추 등을 팔았다. 

 

  이러한 국제 무역에서 사무역이 허용되면서 상인들은 무역 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의주의 만상과 동래의 내상이 대표적인 상인들이었으며, 개성의 송상은 만상과 내상을 중계하며 큰 이득을 남기기도 하였다. 특히, 의주의 만상은 대중국 무역을 주도하여 재화를 많이 축적하였다.

 

<화폐 유통>

  상공업의 발달을 통해 교환의 매개로써 활용되는 금속 화폐, 즉 동전이 자연스럽게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다. 정부도 화폐의 유통을 위해 인조 때 동전을 주조하여 개성을 중심으로 통용시켜 그 쓰임새를 살펴보았으며 효종 때에는 이를 널리 유통하였다. 18세기 후반부터는 세금과 소작료도 동전으로 대납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누구나 상평통보만 가지고 있으면 물건을 살 수 있었다.

 

  이 시기에 동전은 교환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재산 축적의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동전을 상당량 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유통되지 않아 시중에 동전이 부족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지주나 대상인들이 동전을 고리대나 재산 축적에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상품 화폐 경제가 더욱 활발해지면서 환, 어음 등의 신용 화폐 역시 점차 보급되었다. 이는 이 시기에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과 상업 자본이 성장하였음을 보여준다.

반응형

댓글